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타인의 땅

 

 

이갑철, 신촌, 1987


흔들려서 흐릿하지만, 썩 기분 좋은 장면이 아님을 짐작할 수는 있다. 경찰이 젊은이를 붙들고 실랑이를 벌이고 있는 것 같다. 저만치로는 길을 건너려는 행인 하나가 서 있는데 웬일인지 거리는 텅 비었다. 그 뒤로 젊은이 하나가 막 모퉁이를 돌아서려 하고 있다. 멀리서 뒷모습만을 봐서는 그가 어느 시대를 살고 있는지 잘 알 수가 없다. 어중간한 바지통과 머리길이로만 짐작하건대 요즘이 아닌 것만은 확실해 보인다.

 

그림자가 긴 것으로 보아 느린 오후였을 것이다. 신호등도, 담벼락도 모든 반듯한 것들이 기울어진 채로 서 있는 장소는 가 본 듯도 한데 낯설다. 젊은이들이 보이니 대학가일까. 분명한 것은 사진이 계속해서 강박을 선물하고 있다는 것이다.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 같은데 제대로 알 수가 없다. 이 예측 불가능한 상황으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계속해서 사진을 들여다보지만, 단서를 찾아내는 일은 번번이 실패하고 만다. 그래서 또다시 더 불안해진다.

 

우리의 1980년대가 그랬다. 광기와 저항과 방황이 한 데 뒤엉켜 있던 시대. 올림픽 신화를 꿈꾸며 도시는 미친 듯이 치장되고,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도시 밖 풍경과 삶은 뭉그러졌다. 대학가는 뜨거웠으나 개인들은 지독히 고독했다. 자신 또한 뜨거운 청춘이었던 사진가 이갑철은 이 시대를 ‘타인의 땅’에 살던 때라고 부른다. 그때는 남의 땅에 얹혀살고 있는 것처럼 낯설고 불안하고 혼란스러웠다. 그래서 외롭고 무기력했지만, 동시에 마음 한쪽에서는 분노인지 억울함인지 정의감인지 모를 뜨거움이 치솟았다.

 

이갑철의 초기작들이자 1980년대를 압축한 사진집 <타인의 땅>이 나왔다. 장황한 설명 없이 탁월한 심리 묘사를 통해 사적 다큐멘터리 사진을 완성시킨 그의 내공의 뿌리가 이 사진들 속에 있다. 그러나 사진 속 장면들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으로 다가온다. 1980년대의 유산으로부터 우리는 지금 얼마나 자유로운가, 우리는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고 있는가. 그의 사진들은 이 시대에, 그리고 각자에게 여전히 타인의 땅에 살고 있는 것은 아니냐고 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