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츠 자비에 메세르슈미트, ‘개성 있는 얼굴’, 18세기
미술사는 웃는 얼굴을 기록하지 않았다. 웃음은 경박하고 천한 것이며, 영원한 것과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 <장미의 이름>에서 금서가 된 희극(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제2권이 희극일 것이라는 가정)에 관한 이야기를 떠올리게 한다.
늙은 수도사 호르헤는 웃음을 싫어했는데, 웃음이 두려움을 없애기 때문이다. 두려움을 없애면 악마의 존재를 무시하게 되고, 그러면 신앙도 존재할 수 없다는 논리다. 그렇게 금서에 묻힌 독 때문에 수도사들이 죽어나가는 장면은 신앙이 공포에 의해 유지된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미소가 아닌 깔깔 웃는 두상을 만든 작가가 있다. 그뿐 아니다. 하품하는 얼굴, 찡그린 얼굴, 아이처럼 울고 있는 얼굴, 엄청 화가 난 얼굴 등 온갖 우스꽝스러운 얼굴표정이 조각 작품으로 등장했다. 18세기 로코코 시대에 이 범상치 않은 조각을 만든 작가는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자비에 메세르슈미트(1736~1783)이다.
‘개성 있는 얼굴’로 불리는 두상 연작은 다양한 표정을 지을 때 근육이 일그러지는 것을 아주 가까이서 관찰, 세심하게 포착해 만든 것이다. 그는 이런 표정을 연구하기 위해 마치 마임이스트처럼 거울 앞에서 스스로 몸을 꼬집거나 찌르면서 표정이 변화하는 것을 관찰했다. 총 69점에 달했지만 19세기 말에 분산, 행방이 묘연한 작품들이 많다.
빈미술아카데미에서 수학한 그는 빈 궁정 소속으로 일하면서 마리아 테레지아 여왕을 비롯해 엘리트들의 초상조작을 제작했다. 아카데미 부교수로 재임했으나 까다로운 성격 때문에 동료들에게 배척당해 교수직에서 물러나야 했다.
울분에 찬 그는 빈을 떠나 다른 도시에 칩거했다. 이 조각들은 한 세기 반이나 잊혀졌다가 20세기에야 비로소 주목받기 시작했다. 유별난 성격으로 정신병자 취급을 받으며 크게 인정받지 못했던 이단아 메세르슈미트의 이런 두상들은 당대 사회의 부조리와 부패에 대한 조롱과 비판은 아니었을까.
유경희 | 미술평론가
'=====지난 칼럼===== > 유경희의 아트살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모자상을 흥미롭게 감상하는 법 (0) | 2015.05.08 |
---|---|
정원사 모네가 창조한 수련 (0) | 2015.05.01 |
수도사의 불륜이 낳은 그림 (0) | 2015.04.17 |
사냥의 여신이 된 왕의 애첩 (0) | 2015.04.10 |
프란체스카의 부활 (0) | 201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