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는 디지털 적응 여부로 세대가 나뉜다. 영화의전당 LED 공모전과 광복 70년 대한민국미술축전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디지털아트의 차세대 주자로 떠오르는 김성필(홍익대 3학년)에게 4가지를 묻고 배운다.
김성필, WFFuniverse 2015, JAVA 프로그래밍, 2015
- 디지털로 작업하면서 언제 아름다움을 느낍니까?
“디지털 매체는 독특한 아름다움이 있어요. 존재하지 않는 대상에 대해서 느끼는 그리움-그리고 그 그리움에서 파생되는 아름다움-이라고 해야 할까요. 당장은 만질 수가 없거든요. 그렇다고 굳이 필요하지 않은 때 제 작업에 물성을 부여해 현실로 만들고 싶지는 않아요. 그리움이 제가 상정한 하나의 유토피아에 대한 그리움인지는 잘 모르겠어요. 한편으로는, 제 작업이 데이터로서 존재한다는 점이 재미가 있어요.”
- 디지털 세계에서 감정은 어떻습니까?
“감정은 많이 유니폼화돼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웃는 얼굴은 ^^ 혹은 :) 등으로 추상화돼 있듯이, 디지털 문법상에서 표시되는 공통방식은 존재합니다. 저도 그 방식을 따라가는 편이지만, 개인으로서 감정을 디지털 세계에서 저만의 방식으로 객체화시키곤 합니다.”
- 디지털 세계에서 가상과 비가상의 구분은 유의미합니까?
“현시점에서 비가상의 영역과 가상의 영역은 분명 구분돼 있다는 점이에요. 이 둘이 같다고 주장할 수는 있으나, 궁극의 합치가 되기에는 아직은 더 기다려야 하지 않을까요. 다만 그것을 다이어그램으로 표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항상 변하는 ‘many-to-many mapping’이라고 하면 설명이 될까요.”
- 디지털 세계에서 어떤 자유를 추구할 수 있습니까?
“디지털에 대한 이해에 비례해 개인에 따라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객체는 여러 가지의 재현방식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자유로움, 다른 이의 작업결과물을 다시 사용할 수 있다는 자유로움(sampling),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자유로움, 언제든지 실현될 수 있는 논리로 구성될 수 있다는 자유로움의 세계입니다.”
만약 이런 대화가 낯설다면, 바로 지금이 디지털의 감성을 배워가며 응시할 때다.
선승혜 | 아시아인스티튜트 문화연구수석
'=====지난 칼럼===== > 선승혜의 그림친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복탄력성과 지속가능성 (0) | 2016.02.05 |
---|---|
신나는 모험 (0) | 2016.01.29 |
왜 얼굴에 집중할까? (0) | 2016.01.15 |
[선승혜의 그림 친구]“꿈을 선물하다” (0) | 2016.01.08 |
하나하나의 마음가짐 (0) | 2015.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