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경, 꽃무늬 장판, 2014
지난달 군산에 갔다가 깜짝 놀랐다. 이렇게 작은 도시를 찾아오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이 반갑기도 하고, 낯설기도 하다. 하나 반나절쯤 지내다 보니 따로따로 왔는데 단체 관광객이라도 되는 양 다들 같은 동선으로 움직인다는 걸 알게 되었다. 마치 파리에서 등산복을 입고 돌아다니면 한국 사람인 것처럼, 맛집이라 소문난 곳에 한 시간씩 줄을 서고, 지도에 박힌 답사 코스를 따라 걷고 있으면 분명 외지인이다. 그곳은 대개가 신흥동, 장미동 등 군산항 일대다. 일제강점기 미곡을 수출하면서 번성했던 군산의 씁쓸한 역사가 고스란히 간직되어 있는 곳. 관광객 유치를 위해 군산시가 공들여 다듬어 놓은 박물관이나 적산 가옥이 아니라면 이곳 또한 평일에는 쓸쓸해 보일 게 분명했다. 채만식이 <탁류>에서 그려낸 미곡수탈 시대의 천태만상과 우울은 이제 군산의 옛 건물들 속에서나 그 흔적을 더듬어 볼 수 있을 뿐이다.
김영경은 사진으로 이렇듯 과거와 동거하는 군산을 담는다. 특히 ‘안녕, 신흥동’은 이름 그대로 일제강점기 새롭게 부흥한 동네를 기록한다. 외지인들이 눈도장을 찍고 가는 몇몇 장소가 아니라면 이곳은 산 밑에 놓인 1970~1980년대풍의 소박한 주택가일 뿐이다. 그마저도 정비사업 계획에 따라 사라질 운명에 놓여 있다. 하지만 도시의 민낯이라 할 신흥동의 오늘은 관광객의 부산한 발걸음 속에서는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누수를 방지할 요량으로 꽃무늬 장판을 씌워둔 담벼락과 그 옆으로 진짜 꽃이 피는 고즈넉한 골목길은 실은 적산가옥보다도 더 눈길을 받아 마땅하지만 현실은 여전히 초라하다. 김영경이 말하는 ‘안녕’은 이런 소외받은 풍경에 말을 거는 인사이자, 곧 사라질 운명에 고하는 작별 인사이기도 하다. 고백하자면 산보객이 되지 못한 채 관광객 틈에 끼이느라 이런 골목길을 걸어보지 못했다. 대신 과거 삼봉이라 불린 여인숙을 작가들의 창작 공간으로 만든 ‘여인숙 갤러리’에서 이 골목길 사진을 만났다.
송수정 | 전시기획자
'=====지난 칼럼===== > 송수정의 사진 속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폴리와 마릴린 먼로 (0) | 2015.06.25 |
---|---|
유모와 사진가 (0) | 2015.06.18 |
매그넘 퍼스트 (0) | 2015.06.03 |
유진 (0) | 2015.05.28 |
우리가 알던 도시 (0) | 201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