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지연의 미술 소환

버려진 신의 껍데기들

어떤 연유로 신내림을 받고, 또 어쩌다 신과 소원해지는지 무당마다 다른 사연이 넘쳐나겠지만, 신기를 잃은 무당은 그간 당집에 애지중지 모셨던 ‘신상’을 내다 버린단다. 관상학에서 말하는 호상, 당대 가장 이상적인 사람의 얼굴을 담아 만들었다는 불상 등 세상의 좋다는 형상 여기저기에서 가져온 이미지를 짜깁기해 자신의 신상을 만들고, 그 앞에서 굿을 해 신령을 모셨을 테지만, 끝이 오면 의미와 정성, 시간을 쏟아부었던 형상들과 가차 없이 이별한다.

 

김형관, 눈부신 그늘, 2018, 혼합재료, 가변설치 경기도미술관 제공

 

그들이 버린 신의 껍데기가 현대인들의 그림자에 주목해온 작가 김형관의 손에 들어왔다. 영험함을 상실한 최영 장군, 산신, 벅수동자, 선재동자 상은 2012년 그의 개인전 전시장에 등장한 이후 창고에 잠들어 있다가 2018년 ‘경기천년 도큐페스타’의 전시, ‘경기 아카이브_지금,’에 다시 나타났다. 경기라는 이름이 탄생한 지 천년이 된 것을 기념하며 과거와 현재를 기억, 기록하고 미래 천년을 내다보는 이 행사는 경기상상캠퍼스 내 (구)임학임산학관에서 열리는 중이다.

 

참된 지혜와 깨달음을 얻은 중생이 극락정토로 가기 위해서는 반야용선을 타야 한단다. 기획자는 리모델링을 앞두고 있는 이 건물을 ‘반야용선’이라 명명하면서, 이 전시가 경기인의 꿈을 싣고 미래 천년 경기의 바다를 항해하는 하나의 용선이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사물이며 공간이 의미를 입고, 버리고, 또 다른 의미를 얻는 일은 되풀이된다.

 

기획자는 작가와 협의하여 1층 입구에 설치하기로 했던 신상을 옥상 위, ‘반야용선’의 꼭대기로 올렸다. 한때 사람들의 지독한 기도를 받아야 했던 신상이라면, 여전히 ‘영물’일지도 모를 일. 공기를 떠돌던 신들이 문득 발견한 이 신상에 잠시 머물다, 기도의 목소리를 듣고, 또 홀연 떠날지 누가 알까.

 

<김지연 전시기획자>

 

'김지연의 미술 소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을 지배하는 자  (0) 2018.11.05
16만3000광년  (0) 2018.10.30
익숙함과 낯섦 사이  (0) 2018.10.08
초속 5센티미터  (0) 2018.10.01
추수감사절 이후 박모의 단식  (0) 2018.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