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지연의 미술 소환

추수감사절 이후 박모의 단식

박이소, 추수감사절 이후 박모의 단식 퍼포먼스, 1984, 퍼포먼스, 사진 ⓒ박이소,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1984년 11월 넷째 주 목요일, 미국에서 유학 중이던 박이소(당시 이름 박모)는 교회 자선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인 가정의 추수감사절 만찬 자리에 초대를 받았다. 기독교 정신에 입각하여 신께 감사하며 다른 인종, 타 문화인에게까지 ‘은혜’를 베푸는 이날, 미국인들은 칠면조, 옥수수, 으깬 감자, 호박파이, 크랜베리 소스를 비롯하여 새 곡물로 만든 푸짐한 음식을 저녁식탁에 올리고, 미소로 동양인을 맞이했을 거다.

 

요새는 인간의 ‘은혜로움’이 더 멀리 뻗어나간 덕분에, ‘사면식’을 치른 칠면조는 추수감사절 식탁에 오르지 않아도 된다. 대신 동물원이나 농장에서 여생을 보낼 수 있다. 트럼프도 이 사면식에 동참했다 하니, 칠면조는 살아서도 죽어서도 은혜의 상징이다.

그날 이후 박모는 사흘간 밥을 굶었다. 단식은 그에게서 쓸모없는 기력을 빼앗는 대신 맑은 머리를 주지 않았을까. 단식을 마치고 그는 플라스틱으로 가마솥을 만들어 목줄에 매달아 끌면서 뉴욕의 브루클린 다리를 건넜다. 당시 가까이 지내던 작가 강익중이 곁에서 그의 뒷모습을 사진으로 남겼다.

 

“나는 그 사람들에게 추수감사절이 나에게는 행복한 날이 아니라는 걸 알리고 싶었다. 나는 이상한 퍼포먼스를 해서 아방가르드 미술가가 되는 제스처를 해보고 싶었다. 나는 내가 일종의 정치적 미술가라는 걸 보이고 싶었다.”

 

살아야 하는 이유나 핑계가 필요해서 예술을 한다던 그의 ‘터무니없는 정직함’이 아궁이에 올라가는 순간 그대로 녹아 일그러질 플라스틱 가마솥에 매달려 대롱거린다.

추수감사절이 가면 블랙프라이데이가 온다.

 

<김지연 전시기획자>

 

'김지연의 미술 소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숙함과 낯섦 사이  (0) 2018.10.08
초속 5센티미터  (0) 2018.10.01
다바왈라의 점심  (0) 2018.09.17
사소하게 진부하게  (0) 2018.09.10
아모스의 세상  (0) 2018.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