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홍경한의 예술산책-깊이 보다

‘개미’에 담긴 암울한 시대상

원석연, ‘1950년’, 종이에 연필, 64x147cm, 1956 ⓒ 갤러리 아트사이드


연필은 누구에게나 친숙한 필기도구이다. 돌잡이에 놓이는 것들 중 하나도 연필이니, 어쩌면 연필은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손에 쥐는 몇 안되는 사물이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물론 예술가들에게도 연필은 유용한 창작수단이자 소재이다. 그러다보니 연필을 이용해 독창적인 작품을 남긴 이들도 많다.


다수의 연필화를 후대에 물려준 박수근을 비롯해 이중섭, 천경자, 변시지 등의 작가들이 대표적이다. 이 가운데 이중섭이 그린 ‘소와 새와 게’ ‘세 사람’ 등의 작품은 연필로 그린 소품임에도 유화나 ‘은지화’ 못지않은 예술성을 지닌다.


연필화를 독자적인 경지로 끌어 올린 작가 중엔 원석연(1922~2003)도 있다. 흔히 ‘개미화가’로 불리는 그는 2003년 작고하기까지 80평생 연필화에만 집중했다. 출중한 묘사력을 충족시키는 재료로 연필만 한 게 없었기 때문이다. 예술가들은 자신이 특별히 잘 다룰 수 있고 자신 있는 재료가 있기 마련인데 그에겐 연필이 딱 그러했던 것이다.


실제로 그의 연필화는 빼어났다. 1949년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작품 두 점을 출품해 모두 입선할 만큼 수준이 남달랐다. 유럽에서 유학한 첫 번째 화가로 알려진 근대미술의 거장 배운성조차 까만 탄소덩어리에 불과한 연필 하나로 어떻게 그토록 풍부한 수묵화와 같은 느낌을, 단순한 흑백에 기쁘고 슬픈 감정을 녹여낼 수 있었는지 모른다고 할 정도였다.


주제의 폭도 넓었다. 서민적인 내용에서부터 ‘낫’과 같이 일상의 사물을 옮긴 것들, ‘다대포’와 ‘병아리와 거미’처럼 지근거리에 있던 자연과 동물까지 제한이 없었다. 무엇보다 원석연의 연필화는 향토성이 짙었다. 새끼줄에 두어 번 엮인 ‘굴비’나 갈고리에 꿰인 채 머리만 달랑거리는 북어를 농밀하게 묘사한 정물화는 그 자체로 한국적이었을뿐더러, 전쟁과 가난으로 힘들고 지친 삶을 잇던 1950~1960년대의 정경을 소환하는 작품으로 꼽힌다.


그러나 원석연의 명성을 높인 작품은 ‘개미’ 연작이다. 미적이면서도 시공을 뛰어넘는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어서이다. 일례로 수천마리의 개미떼를 사실적으로 담은 작품 ‘전진’은 앞만 보고 달려가는 우리네 모습과 닮아 있다. 


또한 한 마리의 개미가 넓은 공간 귀퉁이에 우두커니 서 있는 그림은 그 어느 때보다 자유롭게 소통하는 것 같지만 실제론 한없이 외로운 동시대인들의 고독을 빼쏘았다.


특히 네모난 화면 내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여기저기 나뒹굴고 있는 개미 무리를 그린 1986년 작품은 정치적으로 분열하고 경제적으로 신음하는 오늘의 사회와 흡사하다. 어디로 가야 할지 몰라 갈팡질팡하는 개미는 불공정과 부정이 판을 치는 세상에서 길 잃은 이들을 본뜬 듯하고, 어느 것 하나 제대로 걷는 놈 없이 고꾸라져 버둥거리고 몸통과 다리가 분리되어 죽음을 앞두고 있는 개미에게선 생사의 경계에서 불안을 안고 살아가는 서민들의 모습이 연상된다.


한낱 곤충에 불과한 개미를 통해 시대의 고통을 표현한 원석연. 비록 존재한 시간은 다르나 우린 그의 개미를 보며 현재의 인간 삶과 개미들의 삶이 그리 다르지만은 않다는 것을 느낀다. 개미마냥 성실하게 살아가지만 권력을 쥔 이들의 온갖 반칙과 꼼수, 편법과 특혜 의혹 앞에 좌절하는 동시대인들의 쓸쓸함과 허무함을 체감한다.


<홍경한 미술평론가 전시기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