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칼럼=====/유경희의 아트살롱

겁 없는 사랑 혹은 겁나는 사랑

프랑수아 제라르, 에로스와 프시케의 사랑의 완성, 캔버스에 오일, 1798년



신화에서 최고의 사랑은? 단연코 에로스와 프시케! 


프시케(psyche)는 그리스어로 ‘나비’ 혹은 ‘영혼’이라는 뜻이며, 영어 ‘사이코(Psycho·정신, 심리, 영혼)’의 어원이다. 프시케는 새벽 하늘에서 내려온 이슬이 땅에 닿는 바로 그 순간에 태어났단다.


그만큼 순수하고 천상적인지라 사람들은 아프로디테보다 더 그녀를 숭배했다. 시기와 질투에 사로잡힌 아프로디테는 잔인한 신탁을 내린다. 프시케가 죽음과 결혼해야 한다는 것! 에로스는 엄마의 명령대로 죽음과 사랑에 빠지도록 프시케에게 화살을 쏘려 한다. 그는 프시케의 미모에 놀라 자신을 찌르고 그만 그녀를 사랑하게 되었던 것. 사랑은 죽음을 이긴다는 말처럼 에로스는 프시케를 구원한다. 그러나 프시케는 언니들의 질투와 자신의 의심으로 에로스를 잃게 된다. 하지만 우여곡절 천신만고 끝에 결국 사랑을 회복한다.


프랑수아 제라르의 ‘에로스와 프시케의 사랑의 완성’은 19세기 신고전주의 회화답게 고대 그리스 조각처럼 비례와 캐논이 조화롭다. 프시케의 머리 위로 나비 한 마리가 보인다. 이는 땅을 기는 애벌레가 탈피해 하늘을 나는 나비로 거듭나듯, 시어머니 아프로디테가 주는 고난을 극복하고 인간에서 신으로 승격해 에로스와의 사랑을 이룰 것임을 암시한다. 


프시케는 두려움 반, 수줍음 반의 표정을 짓고 있다. 한쪽 다리를 살짝 꼬며 발꿈치를 들어 올린 포즈는 더욱더 긴장감을 느끼게 한다. 더불어 가슴을 완전히 가리지 않고 가슴 아랫부분에 위치한 손은 오히려 가슴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이로써 그녀는 수줍은 듯 보이나 실은 당당하게 유혹하는 여인으로 거듭난다.


반면 에로스는 사랑에 들뜬 나머지 여자와는 달리 반쯤 눈을 감고 홍조까지 띠고 있다. 약간 구부정한 모습으로 프시케를 안기 일보 직전의 에로스. 그의 왼다리는 남성의 성기를 암시하는 듯한 구도로 그녀의 음부로 곧장 이어지고 있다. 둘의 결합은 육체적 사랑과 정신적 사랑의 합일을 의미한다. 참 부러운(?) 사랑이다.






유경희 | 미술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