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칼럼=====/송수정의 사진 속으로

공기와 사진

문화예술가들이 박근혜 퇴진을 요구하며 광화문광장에서 캠핑촌을 운영하고 있다. 캠핑촌 입주 작가로 변해 연일 노숙을 하고 있는 사진가 노순택이 페이스북에 이 사진을 올렸다. 신영복 선생의 제자인 보리 이상필 선생이 문화촌으로 변한 그곳에 참여했다가 써준 붓글씨. 사진이 일상이 된 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분단과 공기와 사진을 동일선상에 놓고 나니 그 무게가 달리 느껴진다. 공기야 없으면 살 수가 없고, 분단이야 사라져야만 더 잘 살 수 있으나 사진의 역할은 그 간극 사이에서 과연 뭘까. 공기가 돼버린 분단처럼 실체는 있으되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을 어떻게든 가시화시켜내는 게 사진의 몫일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요즘같이 어지러운 세상에는 가장 쓰임이 많은 표현 매체라고 해야 할까.

 

 

그러나 사진은 권력을 감시할 뿐만 아니라 권력이 백성을 감시할 때도 쓴다. 최순실 게이트의 발단이 된 이대 학생들의 농성에서는 그 어느 때보다도 마스크와 선글라스, 부채의 활약이 두드러졌는데 주동 세력을 추려내려는 사진 채증 관행이 만들어낸 새로운 패션 문화로 꼽을 만하다. 다행히 얼굴을 감춘 채라도 목소리를 높일 수밖에 없던 이대생들의 노력 덕분에 이제 광화문광장에서는 누구도 신원을 감추기 위해 가면을 쓰지는 않는다. 어느 인터넷 매체에서는 경찰이 집회에 참여한 농민들의 기념사진을 찍어준 일화가 미담처럼 등장하기도 했다. 채증 자체가 무의미해진 100만명의 아고라에서 오히려 시위 참가자들은 독려와 인증샷을 위해 스스로 카메라를 든다. 사진이 시대의 기록이거나 혹은 불순분자를 색출하는 감시의 기능일 수만은 없게 된 광장에서, 사진은 비로소 공기처럼 가볍고 자발적으로 100만의 함성을 빛으로 남긴다.

 

송수정 전시기획자

'=====지난 칼럼===== > 송수정의 사진 속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0) 2016.12.02
북극곰 프로젝트  (0) 2016.11.25
놓다, 보다  (0) 2016.11.11
꿀잠  (0) 2016.11.04
사이드 B  (0) 2016.10.28